연하장애는 삼킴에 관여하는 구강, 인두강, 후두강이나 식도관등의 구조자체에 결합이 있거나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에 씹고, 삼키는 능력의 손실 또는 손상으로 먹는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고 특히 고령층에서 흔히 나타납니다. 치료대상
뇌졸증, 외상성 뇌손상, 뇌성마비, 파킨슨질환, 치매, 구강의 감각신경 손상환자 등으로 기능적-신경학적 원인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합니다. 치료평가
침이나 음식물을 흘린다던지, 삼키기를 어려워하는 모든 것이 앉는 자세, 고개의 방향, 턱의 움직임, 혀의 움직임과 감각 인두, 후두의 기능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객관적이며 정확한 평가가 필요합니다. 평가내용으로는 병력, 정신적 상태, 신체적 상태, 그리고 구강기능검사가 포함됩니다.
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검사(Modified Barium Swallow : MBS) 뇌졸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연하곤란 환자에서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의 이상소견을 고속촬영 비디오와 동영상 방사선 장비로 촬영하여서 객관적으로 원인을 분석하는 검사입니다. 검사동안 물, 죽, 밥 등 여러 성상의 음식물을 시도해보고 안전하게 삼킬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와 삼키는 방법까지 결정해 줌으로써 환자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하게 됩니다.
전반적 구강 기능 검사
침상자세 내 삼킴 기능 검사
치료방법
평가(병력, 이학적 검사, 침상 검사, 임상 소견) 치료팀 회의(재활의학과 전문의, 작업치료사, 언어치료사, 영양사로 구성) 각 단계별 연하기능 증진 치료(구강 근육운동, 발성 훈련, 연하 반사 유도법, 촉진기법, 보상법, 호흡운동 등) 섭식 및 식이 조절과 지도 전기 자극 치료 환자 및 가족 교육